728x90
반응형

Musical Chair 활동의 응용 편입니다.

사람이 돌지 않고, 대신 주머니가 돌지요.

플래시카드(낱말카드, 그림카드)가 들어있는 주머니를 돌리다가 음악이 멈추며, 주머니에서 카드를 뽑습니다. 

그리고 Target Expressions를 자연스럽게 연습하도록 하는 것이죠. 

실제 이 게임은 어떤 Target Expressions든지 적용 가능한 multi-purpose 게임이랍니다.

 

1. 활동 목적

- ‘be going to' 구문의 연습 및 제안하는 말하기를 연습하 기 위한 활동임

 

2. 활동 구성

-Group work, class work 

 

3. 활동 방법

① 게임 참가자들은 원형으로 앉아요.

② 음악을 재생시키고 플래시카드 주머니를 돌려요.

going to grammar game 주머니 안에 플래시 카드를 준비해요

③ 음악이 멈추면, 순간 주머니를 가지고 있는 친구는 주머니에서 카드 한 장을 뽑아요.

- 물론 이때 카드 안에서 랜덤으로 뽑도록 합니다. 

④ 예를 들어 나온 그림 카드가 테니스 라켓이라면 다른 친구들은 이렇게 질문해요.

going to grammar game 질문과 답변 예시

- Why do you have a tennis racquet in your bag?

⑤ 카드를 뽑은 친구는 적절한 이유를 말하되 ‘be going to'를 반드시 사용해야 해요.

- Because I'm going to play tennis after the lesson.

- 물론 꼭 이렇게 대답하지 않고, 보다 창의적으로 답변해도 됩니다. 

⑥ 다시 음악을 재생하고, 계속 돌아가며 활동을 진행합니다.

 

4. 활동 시 유의사항

① 가르치고자 하는 grammatical focus에 따라 얼마든지 바꿀 수 있어요.

② 주머니를 던지지 않도록 하고 가급적 일정한 속도로 패스하도록 해요.

 

특히 이 활동에서는 의외의 낱말카드나 그림카드를 넣어두면 더욱 재미있어진답니다. 

예를 들어 "Why do you have French fries in your bag?"이라고 물어볼 수도 있겠죠?

아이들이 어떤 답변을 할지 기대되지 않으신가요? 

 

이 활동의 강점은 다음과 같아요.

첫째, 언어의 창의성에 대해 느낄 수 있어요.

교과서에 있는 문장이 아닌, 나만의 이유를 위한 문장을 만들기 때문이지요.

둘째, 어떤 카드를 뽑게 될지, 저 주머니가 언제 멈출지, 게임의 재미 요소가 가득해요.

셋째, grammar point를 자연스러운 문맥과 상황을 통해 이해하고 습득하도록 도와줍니다. 

- be going to는 이런 이런 뜻이라고 설명하는 것보다 훨씬 직관적이고 실제적이지요.

 

플래시카드(낱말 카드, 그림 카드)와 주머니만 있으면 

간단히 시도해 볼 수 있는 going to grammar game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뉴스 리포터가 되어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왜? 와 같은 질문을 하도록 합니다.

 

News Reporter 게임은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문장 구조를 연습하기 위한 게임입니다. 

바로 날카로운 질문하기!

Key Question 만들기!

바로 News Reporter 게임의 중심 아이디어입니다. 

1. 활동 목적

- 의문사(when, where, how, why)가 있는 의문문을 만들고 이에 적절한 응답하기

 

2. 활동 구성: group work

- 5명이 한 모둠을 이루는 것이 가장 좋아요.

- 4명보다 작다면, 1명이 2개의 역할을 갖고 활동할 수 있어요.

 

3. 활동 방법

① 가위 바위 보를 하여 순서를 정하며, 가장 먼저 하는 사람은 물건 이름이 적힌 카드를 뽑아요.

- Target words를 활용하여 낱말 카드를 미리 준비하기

② 나머지 4명의 학생은 각 의문사를 나타내는 고깔모자를 써요.

- 의문사 모자는 하나의 상징적인 준비물입니다.

- 준비하기 어렵다면, 포스트잇에 간단히 적어 옷에 붙이거나, sticky tape을 활용하셔도 됩니다. 

③ 자신이 맡은 의문사를 이용해 질문을 함

- When do you use it? 

- Where can you get it? / Where you do use it? 

- How do you use it?

- Why do you use it? / Why do you like it? 

- 예를 들어 정답이 soap이라면, 이런 질문을 하면서 어떤 물건인지 생각해 보는 것이죠.

④ 질문을 해 나가면서 4명의 학생들은 어떤 물건인지 알아맞히기

- 한 라운드를 모두 마쳐도 정답을 알 수 없을 때는 한 라운드 질문을 추가적으로 합니다.

 

4. 활동 시 유의사항

① 4개의 의문사를 활용하여 질문하기에 용이한 어휘 카드를 미리 준비하여 활용해요.

②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을 만드는 것을 어려워할 경우 sample expressions을 칠판, 보드에 게시해요.

 

5. News Reporter 활동의 장점

첫째, 언제나 그렇듯이 정답이 무엇인지 추측하고 예상하는 활동은 재미있어요.

둘째, 모든 사람의 질문과 답을 잘 들어야 추측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주의집중해요.

셋째, 정답을 알아맞히기 위해 보다 결정적인 질문 만들기에 몰입시킬 수 있어요.

 - 정말 영어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맥락을 주는 것은 중요해요!

넷째,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문장 구조의 반복적인 Input을 제공해요.

끝으로, 질문하고 대답하며 정답을 추측하는 과정을 통해 논리적, 비판적 사고력을 키워요.

 

그런데 의외로 아이들이 고깔모자 쓰는 것을 참 좋아해요!

아마 생일 기분이 들어서 그런 것일지도 모르지만요.

의문사가 붙어 있는 고깔모자 쓰는 것으로도, 그 아이에게 그 의문사는 평생 기억에 남을 수도 있어요.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문장 구조를 연습하기 위한 News Reporter 게임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문장 구조를 연습하는 재미있는 게임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특별한 이름을 붙이고자 하였으나,

직관적으로 가장 이해하기 쉽게 'Circle Game'이라고 부르도록 하겠습니다. 

1) 활동 목적

- 낱말을 보고 문장을 만들어 말하도록 함으로써 영어 문장의 구조 연습하기

- 서술문, 의문문, 부정문, 명령문 등 다양한 문장 구조 연습하기

 

2) 활동 구성: group work

 

3) 활동 방법

① 게임 참가자는 원형으로 마주 보고 서 있도록 합니다. 

② 술래는 원 한 가운데 서 있도록 합니다. 

- 다른 친구들은 플래시카드(또는 낱말카드)를 모두가 잘 보이도록 들어요.

③ 연습할 구문이 'I would like~.'임을 소개해요.

④ 술래는 참가자들의 카드를 보고 문장을 만들어 말해요.

- 예를 들어, "I would like bananas and pie."

⑤ 이 때 바나나 카드를 가진 사람과 파이 카드를 가진 사람은 서로 자리를 바꾸어야 해요.

자리를 바꾸려는 순간 술래도 두 자리 중 한 자리를 재빨리 차지해야 해요.

⑥ 원 안으로 들어가지 못한 사람이 새로운 술래가 되어 활동을 계속해요.

 

4) 활동 시 유의사항

- 연습할 문장 구조는 정확하게 안내하거나 필요한 경우  TV나 보드에 게시해요.

- 술래는 반드시 크고 정확하게 해당하는 목표 문장을 말해야 한다고 강조해요.

- 정작 게임에만 몰두하여 Target Expressions 습득이 소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해요.

- 원 안에서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에 이동할 때 부딪히거나 밀지 않도록 유의해요.

 

<Circle Game의 장점>

첫째, 언어의 창의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초보적인 수준이라고 하더라도, 아이들 스스로 문장을 만들어 말하는 경험은 소중해요.

둘째, 술래가 어떤 문장을 말할지 모두가 경청하게 됩니다.

내가 가진 카드가 뽑힐 지도 모르기 때문에, 강조하지 않아도 모두가 열심히 귀 기울여 듣지요.

셋째, 아이들에게 선택권이 있는 활동은 재미있어요.

술래가 된 아이는 '어떤 낱말을 사용할까?' 하면서 즐거운 고민을 하게 되지요.

실제로 이 게임은 술래가 되기를 오히려 바라는 게임입니다. 

 

카드만 있다면 실제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활동이에요.

언어의 창의성을 느낄 수 있으면서도,

가벼운 움직임과 함께 하는 Circle Game,

한번 시도해 보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Treasure Hunt(보물찾기) 게임해 보셨나요?

한 번도 보물을 못 찾아서 항상 실망했던 기억만 가득한데요.

 

꼭 보물만 찾으란 법 있나요?

영어 교수학습 아이디어에서는 명사도 찾고, 형용사도 찾고, 동사도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품사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하는지 살펴볼까요?

<품사의 종류>

명사: Noun, 대명사: Pronoun, 동사: Verb, 형용사: Adjective, 부사: Adverb,

관사: Article, 전치사: Preposition, 접속사: Conjunction, 감탄사: Interjection, 관계사: Relative pronoun

 

Noun Treasure Hunt 활동의 예시는 다음과 같아요.

noun treasure hunt

 

<활동 방법>

1. 명사(noun)는 사람, 장소, 물건, 생각 등을 표현하기 위한 낱말임을 설명해요.

2. 다음과 같은 Noun Treasure Hunt 워크시트를 준비합니다.

 

Noun Treasure Hunt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Z

3. 교실에서 할 수도 있고, 운동장이나 공원이 있다면 그 장소에서도 가능해요.

  - 교실에서는 다소 한정적인 낱말들을 찾게 됩니다.

  - 특별실(도서관, 과학실, 실과실 등), 체육관, 운동장, 거리, 공원 등이 더 재미있어요.

  -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사전 안전 교육은 필수!

4. 워크시트에 찾은 낱말을 쓰고 워크시트를 완성하면 다시 모입니다. 

   - 시간 제한이 필요하면, 일정 시간 제시하고 다시 모이도록 해요.

5. 찾은 명사들을 비교해 봅니다.

 

<활동 상의 유의점>

  - 일반적으로 아이들은 물건(thing)에 대한 것만 명사라고 생각하기 쉬워요.

  - 장소(place), 사람(person), 생각(idea) 등도 명사가 될 수 있음을 자연스럽게 깨닫게 됩니다. 

  - 아이들이 찾은 낱말들을 비교, 확인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아래와 같은 질문이 생깁니다.

  - 바로 보통 명사(common noun)고유 명사(proper noun)에 관한 것이죠.

  ex> Seoul은 고유 명사, city는 보통명사

         Samsung은 고유 명사, company는 보통명사

 

Noun Treasure Hunt에서는 많은 보물들을 찾을 수 있기를~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여러분은 어떤 종류의 달걀 요리를 좋아하시나요?

sunny side up,

boiled eggs,

omelette,

scrambled eggs 등을 고르실 것 같은데요.

오늘은 scrambled eggs가 아닌 scrambled sentences 활동입니다. 

 

<활동 목표>

 - 낱말 카드의 순서를 재배열하여 알맞은 문장으로 만들기

 

- 낱말 카드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 문장은 대문자로 시작해야 함을 기억합니다.

- 문장은 구두점(punctuation)으로 끝나야 함을 적용합니다.

- 낱말 카드를 재배열하여 올바른 문장으로 구성합니다.

  바로 아래 그림처럼요.

<Scrambled Sentences Classroom English>

1. Today, we're going to play a game called 'Scrambled Sentences.'

오늘은 'Scrambled Sentences'라는 게임을 할 거예요.

 

2. I will give you a set of words that make up a sentence, but they're all mixed up.

문장을 만들 수 있는 낱말 카드 세트를 줄 건데, 카드는 모두 뒤섞여 있어요.

 

3. Your task is to rearrange the words to create a sentence that makes sense.

여러분이 할 일은 알맞은 문장이 되도록 낱말 카드를 재배열하는 거예요.

 

4. Think about the order of words in a sentence – what comes first, second, and so on.

문장에서 낱말의 순서를 생각해 보세요. 처음에 올 것, 두 번째 올 것 등

 

5. Once you think you have the correct order, raise your hand or let me know.

정확한 순서를 찾았다고 생각되면, 손을 들어 알려주세요.

 

<활동 상의 유의점>

 - 학생 수준에 따라 문장의 길이(낱말 카드의 개수)를 조절합니다.

 - 활동 구성에 따라 Solo work, Pair work, Group work로 진행합니다.

 

낱말 카드를 재배열하는 것은 영어 문장 구조 파악에 효과적이랍니다.

오늘 Scrambled egg 드시며, Scrambled sentences 활동은 어떠실까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시장에 가면' 이라는 게임을 아시나요? 그 게임 영어 버전입니다.

원형으로 앉은  player들이 문장을 하나, 하나씩 추가해 가며 말합니다.

10명이 참가한다면, 10번째 player는 무려 10개의 문장을 연속으로 말하게 되지요. 

어렵겠다고요? 의외로 아이들은 기억 전략을 최대한 동원해 성공한답니다!

 

1) 활동 목적: 문장을 만들어 말하고 같은 형태의 문장을 계속하여 기 억하면서 덧붙여 만들어 말하도록 함으로써 문장의 구조를 익히도 록 하기 위함

 

2) 활동 구성 : group work 

 

3)  활동 시 유의사항 & variations

① 다음과 같은 예시의 다양한 구조의 문장들로 응용하여 게임할 수 있습니다.

    연습하고자 하는 구조의 문장은 무한대로 적용이 가능한 것이죠. 

     - have got + a(an), some

     - like(verb) ~ing 

     - there is/are ~

     - past simple, etc

 

② 문장에 대한 기억을 돕도록 하기 위해 간단한 동작을 같이 하는 것도 재미있고 효과적이에요.

     (아이들의 긴장감을 좀 덜어줄 수 있답니다.)

 

4) 활동 방법

① 게임 참가자는 원형으로 앉습니다. 

 

② 한 방향으로(시계방향이든, 반시계방향이든) 정하여 말하기를 시작합니다. 

 

③ 예를 들어, daily routines을 말하는 문장 구조를 배운다고 가정해 봅시다. 

     첫 번째 사람이  "I get up at 6." 라고 말합니다. 

 

④  두 번째 사람은 'I get up at 6.'에 연속되는 문장을 추가하여 말합니다. 

     예를 들어, "I get up at 6 and I brush my teeth at 6:30."

 

⑤ 세 번째 사람은 앞의 두 문장을 반복하여 말한 뒤 자신의 문장 하나를 또 추가합니다.

    "I get up at 6, I brush my teeth at 6:30 and I take a shower at 6:40."

 

⑥ 게임 참가자들이 이와 같이 순서대로 앞의 문장을 모두 반복하고 자신의 문장을 추가하죠.

    이 게임을 통해 'Daily routines' 과 시각 표현이 들어가는 문장 구조를 계속 연습합니다.

    특히 Player들은 자신이 말하기 전에 친구들이 한 말을 주의깊게 들어야만 해요.

 

Here's how it works: I'll start the sentence with a simple phrase. Then, I'll point to one of you, and it will be your turn to add the next sentence. Make sure to listen carefully to what the person before you says, so your addition makes sense. Let's try to create a interesting sentence together."

 

이 활동의 장점은 영어 자체의 연습을 지루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아이들은 '내가 지금 영어 문장 구조를 연습하고 있다.'러고 생각하지 않거든요.

귀납적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Target Sentence를 듣고, 말하는 과정에서 문장 구조에 익숙해지게 되는 것이지요.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See you soon!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