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9992039

our dad는 없고 my dad가 있는 요즘 아이들

by curious eye 2025. 4. 22.
728x90
반응형

초등학생들에게 소유격(possessive)을 가르칠 때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곤 합니다.

1. 시각적 자료 활용하기

  • 플래시카드: 다양한 물건(예: 사과, 책, 장난감) 그림으로 "This is Sam's apple."과 같은 문장을 만들도록 합니다. 

2. 역할 놀이

  • 역할극: 학생들에게 역할을 주고, "Who is this?"라는 질문에 답하면서 소유격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This is John's book."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 물건을 소개합니다.

3. 물건 주인 알아맞히기 게임

  • 소유격 퀴즈 게임: 각 학생이 자신의 소지품(가방, 인형 등)을 가지고 오고, 다른 학생들에게 그 물건의 주인을 묻는 게임을 진행합니다. 예: "Whose toy is this?" 질문에 대해 "It's Amy's toy."처럼 대답하게 합니다.

4. 스토리텔링

  • 이야기 만들기: 학생들이 이야기를 만들고 소유격을 포함하도록 지도합니다. 예를 들어, "Tom's cat is very playful." 같은 문장을 포함시킵니다.

5. 미술 활동

  • 포스터 만들기: 각 학생이 자신의 가족이나 친구들을 그린 포스터를 만들고, 그들의 소유물을 소유격으로 설명합니다. 포스터의 개체들에 대해 "This is my mother's car."라고 적게 합니다.

6. 보물찾기 게임

  • 보물찾기: 소유격을 사용하는 힌트를 통해 보물을 찾도록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ind Sarah's hat under the table."와 같은 힌트를 제공합니다.

 

그런데 소유격과 관련하여 요즘 아이들의 달라진 점 한 가지!

 

'우리 아빠'가 아닌 '내 아빠'라고 표현하는 아이들이 많아진다는 점이지요.

처음에 '내 아빠'라는 표현을 들었을 때는 참 생소했지요. 

아이들은 오히려 '우리 아빠' 라는 개념은 다소 생소해합니다.

 

아빠나 엄마는 나만의 '아빠' 나만의 '엄마'인 거지

'우리 엄마', '우리 아빠'는 아니라는 것이지요.

 

아무래도 무남독녀(only daughter), 외동아들(only son)이 많아서 그렇기도 하고요. 

 

아이들의 변화를 순간순간 느끼고 감지하는 것도 이런 것인가 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