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목6 Hero Project: 2차시 Activity 2,3 드디어 대장정의 막입니다. 2차시의 마지막 2개 활동을 같이 설명드리겠습니다. 바로 아래 노란 셀 부분에 대한 설명입니다. 1차시에서 했던 프랭클린의 체크리스트와 personality 체크리스트 결과를 활용합니다.두 가지의 결과를 포스팅한 뒤, 두 결과를 살펴본 친구들에게 조언을 얻는 방법입니다.이 활동을 위해서는 4명이 1그룹으로 활동합니다. 각각 서로의 체크리스트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이 친구에게 해 줄 수 있는 생활상의 조언을 해 주는 것이지요. 위의 활동을 통해 얻은 조언을 바탕으로 스스로의 결심을 세워보는 활동입니다. 2번의 체크리스트 결과와,친구들의 조언까지 아이디어를 더하여,나의 future plan을 세워 봅니다. 물론 6칸을 모두 채울 필요는 없습니다.생각의 확장과 유연성을 위해 .. 2025. 4. 22. Hero Project: 2차시 Activity1 이제 2차시 수업에 들어가 보도록 하지요. 1차시에서는 다양한 사례에서 덕목(virtue)을 찾았다면2차시에서는 이 덕목을 자신의 삶 속으로 가지고 오는 단계입니다. 여기서 질문 한 가지!인성교육은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보통 인성교육은 Character Education으로 표현해요. 정직(honesty), 존중(respect), 공감(empathy), 공정(fairness), 책임(responsibility) 등의 덕목(virtue)을 가르치고 도덕적으로 올바른 판단을 하는 것에 보다 집중합니다. Personality Education은 어떨까요? 인성교육과의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자기 인식(self-awareness), 자존감(self-esteem), 사회적 기술(social skills).. 2025. 4. 22. Hero Project: 1차시 Activity3 이번에는 1차시의 마지막 활동인 Activity 3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수업은 보통 '준비-전개-정리'의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제가 주로 설명드리고 있는 것은 바로 가운데 가장 핵심 단계인 '전개' 단계입니다. '전개' 단계를 3가지의 작은 활동으로 준비하고 실행하고 있는 것이지요. 수업은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자연스러운 흐름과 비계, 성취기준(수업 목표)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치밀한 구성입니다. 초보자 선생님들께서 많이 하실 수 있는 실수 중 하나는위의 3가지를 고려하지 않고, 재미있는 활동들로만 가득한 수업을 구상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소위 '백화점식 수업'이라고 합니다. 활동 3가지가 모두 게임 요소만 가득하다면,활동 3가지가 모두 짝 활동만 한다면,활동 3가지가 모두 수준.. 2025. 4. 21. Hero Project: 1차시 Activity2 Hero Project 1차시의 두 번째 활동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바로 아래 부분에서 노란셀에 해당합니다. 수업에서는 계획에 따른 적절한 비계(scaffolding)가 중요합니다.알고 있는 것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도록 교사의 전문적인 planning이 동반되는 것이지요. 여기에 적용된 비계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활동에서 덕목카드와 설명카드를 통해 기본적인 덕목에 대한 어휘와 표현을 익혔기 때문에,두 번째 활동에서는 실제 다양한 인물의 삶에 대해 읽어보는 것으로 발전하도록 합니다. 수준 역시 word level에서 sentence level로 한 단계 끌어올리는 것이고요. 여기서는 마틴 루터 킹, 말랄라, 테레사 수녀, 넬슨 만델라라는 인물들을 이용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2025. 4. 21. PBL(프로젝트수업) 교수학습과정안: Hero Project(part3) 프로젝트 수업의 계획, 실행, 구체적인 활동 방법까지를 설명드리고 있는 세 번째 글입니다.이번 part3는 이제 실제적으로 학생들이 어떤 Intput을 받게 되고, 어떤 활동에 참여하는지 등이 구체적으로 드러납니다. 차시 1의 주제는 바로 Heroes and Virtue List로 설정하였습니다. 다양한 사례에서 미덕 덕목을 찾아보는 것이 바로 주요 활동입니다. 활동을 위해 아래와 같이 계획합니다. 지금부터는 학습자 중심 관점입니다.교사의 Teaching을 위한 목표 설정이 아니라학생의 Learning을 위한 목표 설정으로 관점을 갖는 것이 필요합니다. 때로는 교사가 스스로 만든 준비물이나 관련된 참고 웹사이트까지 제시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준비가 다 되었다면, 실제 40분~80분의 수업에서.. 2025. 4. 14. PBL(프로젝트수업) 교수학습과정안: Hero project(part2) 프로젝트 수업의 정의에 대해서는 이전 글에서 설명드렸습니다.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많은 학자들의 정의가 있지요.다양한 교과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해 온 결과,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아래의 3가지입니다. 1. 교사가 일방적으로 던져주는 문제가 아니라, 학생이 도출해 내는 문제, 즉 문제 발견력이 key이다2. 혼자 하는 프로젝트보다는 다양한 특장점을 가진 학생들이 같이 어울리는 team work가 중요한 과정이다3. 발견한 문제의 해결 방법이나 과정 중 느꼈던 생각, 감정, 의지, 다짐 등을 presentation 하는 과정은 필수다 이번에는 이어서 Hero project 교수학습과정안을 이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내용 목표와 언어 목표를 설정한 이후에는 보다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합니다... 2025. 4.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