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영어로도 삼행시가 있을까요?

당연히 있답니다.

N행시를 바로 Acrostic Poem이라고 해요.

정의를 잠깐 영어로 보실까요?

 

초기 수준의 영어 쓰기 활동이나,

이름 철자를 활용한 자기소개글 쓰기 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

 

Acrostic이란, 주어진 낱말의 각 철자로 시작하는 간단한 형태의 시 쓰기 활동입니다.

 

1. 활동 구성: solo work, class work

 

2. 활동 방법

① 이름, 주변 사물 중 시를 쓰고 싶은 낱말을 선택해요.

② 종이 왼편에 선택한 낱말을 한 글자씩 세로로 써요.

  만약 Tom(이름)을 골랐다면, 세로로 T-O-M을 씁니다.

③ 맨 위 글자에서부터 자신과 관련된 낱말이나 문구를 씁니다.

④ 완벽한 문장 형태가 아니어도 됩니다. 

⑤ 완성한 다음, Acrostic을 활용하여 간단히 자기소개를 합니다.

 

3. 활동 시 유의사항

① 가장 좋은 설명 방법은 예시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 이름이나 간단한 낱말로 Acrostic Poem 쓰는 방법을 보여줘요.

학기 초, 첫 대면 시간 등에 활용하면 특히 효과적이에요

 - 이름으로 자기 소개를 할 수 있어요.

 - 개별 활동으로 진행한 후, 모둠이나 전체 활동으로 연결해요.

③ 시를 완성한 후, 남는 공간에 간단한 그림을 그려 게시해도 좋아요.

우리가 하는 N행시와 똑같지는 않지만

'시를 쓴다'라는 경험을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귀한 게임입니다. 

실제로 이 활동을 하다 보면 아이들의 질문이 많아져요.

그만큼 표현하고 싶은 욕구가 있어서겠죠?

 

728x90
반응형

'Reading&Writing Gam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im Game(님 게임, 31게임)  (0) 2024.01.21
Diamante Poem(다이아몬드 시 쓰기)  (0) 2024.01.15
Wacky Headlines  (0) 2024.01.15
Word Lotto(워드 로또) version 2  (1) 2024.01.14
Word Search  (1) 2024.01.07
728x90
반응형

글을 쓴다는 것,

그것이 아무리 짧다고 하더라도 쉽지 않죠?

 

아이들에게 '신문기사의 헤드라인을 써 보자'라고 하면 깜짝 놀라겠죠?

하지만 어렵지 않게 헤드라인을 뽑을 수 있다고 안심시켜 주면서

Wacky Headlines 활동을 안내해 보세요.

 

요즘은 종이로 된 신문을 보기도 힘든데요.

신문은 여러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신문 이름, 날씨, 사진, 부고, 기사 등이 있겠네요.

특히 헤드라인은 큰 글씨로 독자의 눈을 사로잡는 부분입니다.

 

Wacky Headlines 활동은 바로 뉴스의 헤드라인을 써 보는 활동입니다. 

Headline이 독자의 눈길을 끌기 위해서는

호기심을 유발해야 하겠죠?

Wacky는 '별난', '이상한' 정도의 의미이니,

'이상한 헤드라인' 활동으로 이해해 주시면 됩니다. 

1.  활동 목적: 우연성의 흥미를 최대한 살린 재미있는 기사 제목(headlines) 쓰기 활동

 

2. 활동 구성: group work

 

3. 활동 시 유의사항

- 필요한 경우 영어 사전을 사용하도록 안내해요.

- 동사, 형용사, 명사 등에 따라 색깔이 다른 종이를 미리 잘라 활용해요.

- 너무 작은 group이면 다양한 낱말이 나오지 않아요.

  (적어도 6~15명이 같이 활동해요)

- 4명 이하의 작은 group이라면 한 주머니당 낱말 개수를 늘려서 쓰도록 해요.

 

4. 활동 방법

① 종이(4가지 색깔), 필기구, 주머니 4개를 준비해요.

 - 종이 준비: 하양, 노랑, 주황, 연두 등 4가지 색으로 준비

 - 주머니 준비: 바구니, 상자, 종이봉투도 가능해요

② 주머니에는 1~4까지 번호를 붙여요.

③ 색깔 종이 4가지를 준비하고, 4개의 낱말을 쓰도록 합니다.

- 첫 번째 종이: 형용사(enormous, slippery, blue, crazy, tiny 등)

- 두 번째 종이: 사람, 캐릭터, 동물, 유명인(Hulk, Joker, puppy 등)

- 세 번째 종이: 동사(jumps, howls, grabs, kicks, runs, eats 등)

- 네 번째 종이: 보통명사(flowers, sheep, police cars, potato 등)

④ 다 쓴 다음 종이를 접어 각각 주머니에 넣어요

- 첫 번째 종이는 첫 번째 주머니에, 두 번째 종이는 두 번째 주머니에 넣기 

⑤ 4개의 주머니가 다 준비되면 종이를 뽑을 순서를 정해요.

⑥ 먼저 뽑는 사람은 1번 주머니에서부터 종이를 1개씩 꺼내요. 

⑦ 1~4 주머니에서 꺼낸 순서대로 헤드라인을 만들어요.

  ex> crazy, puppy, eats, flower (미친 강아지가 꽃을 먹는다)

⑧ 가장 독특하고 우스운 헤드라인을 만든 사람이 이겨요.

⑨ 누가 가장 재미있고 독특한 헤드라인을 만들었는지 투표할 수도 있어요.

 

5. Wacky Headlines활동의 장점

- 예측할 수 없는 활동은 아이들에게 즐거움을 줍니다.

- 낱말을 쓸 때, 스펠링을 틀리지 않도록 노력하는 모습이 보여요.

- Headline활동을 쓴 다음, 쓰기 활동으로 발전시킬 수 있어요.

  (쓰기 수준이 되는 경우 기사 제목에 맞도록 내용을 쓰도록 해요)

- 내가 쓴 낱말이 다른 사람의 Headline의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어요.

  (이 활동에 함께 하고 있다는 느낌, 기여한다는 느낌을 줄 수 있어요)

 

색지를 구하기 어렵다면 A4종이만으로도 충분하답니다.

보다 시각적인 효과를 주기 위함이니 참고하시고요.

바구니나 주머니를 구하기 어렵다면, 서류 봉투로도 가능하니 

준비물에 대한 부담감은 살짝 내려놓으셔도 됩니다.

 

우연의 효과에 기대한 재미있는 Headline 쓰기 활동

한번 시도해 보세요!

728x90
반응형

'Reading&Writing Gam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amante Poem(다이아몬드 시 쓰기)  (0) 2024.01.15
Acrostic Poem(영어 N행시 쓰기)  (1) 2024.01.15
Word Lotto(워드 로또) version 2  (1) 2024.01.14
Word Search  (1) 2024.01.07
Battleship Game  (2) 2024.01.06
728x90
반응형

Phonics & Spelling 카테고리에서 Word Lotte version 1 활동 연계입니다. 

version 1에서는 철자(spelling)를 쓰고, 낱말 만들기 활동이었는데요.

version 2는 보다 Lottery 게임과 유사하답니다. 

그래서 아이들의 반응이 조금 더 뜨겁답니다.

실제 Lotto 게임도 아닌데 말이죠. 

 

주로 Sight Words 위주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Sight words는 high-frequency words, common words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Sight Words는 우리나라 영어 교실에서는 별로 없지만,

외국 초등학교에서는 너무너무 흔하게 포스팅되어 있어요.

눈에 자주 익도록 중요한 낱말을 게시판, 칠판, 교실 벽 등에 게시해 두는 것이랍니다. 

Word Lotto는 낱말을 골라 워크시트에 쓴 뒤, 랜덤으로 나온 낱말이 많이 일치하는 사람이 이기는 읽기/쓰기 활동입니다.

2가지 언어 기능을 동시에 포커싱한 활동이에요.

여기에 로또라는 재미는 덤인 셈이죠.

 

<활동 방법>

1. 아래와 같이 번호를 매긴 36개의 낱말을 활용해요.

여기에서는 예시로 몇 개의 낱말만 제시합니다. 

 

2. 36개의 낱말 중, 7개를 골라 워크시트에 쓰도록 합니다. 

3. 7개의 낱말을 다 썼으면 게임 준비 끝!

4. 선생님께서 숫자를 뽑습니다.

  (랜덤 숫자 뽑기 프로그램을 활용하시면 간편해요)

5. 나온 숫자를 보고, 해당 낱말이 있으면 표시합니다.

6. 당연히 많이 맞힌 player가 승리! 

 

로또처럼, 맞힐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낮겠죠?

36개의 낱말 개수를 줄여서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5~20개 정도로 시도해 보세요. 

 

낱말을 반복하여 쓰면서 외우는 것은 지루할 수도 있지만

Word Lotto게임을 하게 되면 조금이라도 즐겁게

Reading & Writing 활동을 할 수 있어요!

728x90
반응형

'Reading&Writing Gam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amante Poem(다이아몬드 시 쓰기)  (0) 2024.01.15
Acrostic Poem(영어 N행시 쓰기)  (1) 2024.01.15
Wacky Headlines  (0) 2024.01.15
Word Search  (1) 2024.01.07
Battleship Game  (2) 2024.01.06
728x90
반응형

영어 시간에 로또라니?

놀라지 않으셔도 됩니다.

재미있게 게임도 하면서, 영어 철자도 익히게 되니

유익한 로또 게임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Lotto Activity는 버전이 여러 가지입니다.

Phonics & Spelling Game에서는, 

랜덤 하게 철자(Spelling)를 쓴 후, 낱말(Word)을 만드는 활동으로 소개드릴게요.

낱말(Word)을 쓰고 쓴 낱말을 활용하는 버전은 다른 글에서 소개드리겠습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아요.

1. 철자를 쓰고, 낱말을 만드는 활동: 버전 1(Phonics & Spelling)

2. 낱말을 쓰고, 쓴 낱말을 활용한 활동: 버전 2(Reading & Writing)

활동 방법은 많이 다르니, 버전 2는 Reading & Writing에서 참고해 주세요.

 

<활동 방법>

1. Word Lotto 워크시트(5*5등)를 준비해요.

2. 준비한 철자 25개를 순서대로 불러요.

 단, 낱말을 만들기 위해 적절한 모음(vowels)을 포함하여야 해요.

  ex> I, A, S, O, E, G, R, U, B, E, H, D, O, E...

3. 5*5 워크시트의 원하는 곳에 철자를 써 나갑니다.

4. 25개 철자로 Word Lotte 워크시트를 모두 채웁니다.

5. Word Lotto 워크시트에서 가능한 한 많은 낱말을 만들어요.

  - 예시에서 가능한 낱말: SEA, NOON, HIS, TIP, BOOK, USA, WE, SIP, AS, SO, BE, SON 등

  - 찾은 낱말은 귀여운 토끼 얼굴에 쓸 수 있어요.

6. 단, 낱말은 인접한 셀에 쓰인 철자로만 만들 수 있어요.

  - 가로, 세로, 대각선 및 인접한 셀에 있는 철자로 만들 수 있어요.

  - 셀을 건너뛰어 낱말 만들기는 안 돼요!

  - 한 낱말에서 철자를 2번 사용할 수는 없어요!

7. 다 만든 다음에는 만든 낱말의 개수로 점수를 계산해요.

 

<활동 상의 유의점>

- 한번 쓴 철자는 위치를 바꿀 수 없도록 해야 해요.

- 연필보다는 펜, 사인펜, 네임펜 등을 활용해요.

- 다음 철자가 나오기 전, 이전 철자 쓰기는 마쳐야 해요.

 

Word Lotto 활동의 장점은 아래와 같아요.

첫째, 낱말을 만들기 위해 철자를 위, 아래, 옆, 대각선 등 열심히 관찰하도록 합니다. 

 - 언어뿐만 아니라, 조합하고 창조하는 경험을 주는 것이죠.

둘째, 철자를 쓰는 위치는 모두 제각각이므로 다양한 낱말이 나올 수 있어요.

 - '세상엔 정답이 다양하다!'라는 삶의 철학도 아이들에게 줄 수 있죠.

셋째, 꼭 영어 실력이 뛰어나지 않아도, 어렵지 않게 도전해요.

 - 철자 받아쓰기는 부담이 없어요. 

넷째, 재미있게 학습하는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 반복적, 기계적으로 철자나 낱말을 쓰는 것은 별로 재미가 없겠죠?

 

Word Lotto!

오늘 여러분의 낱말 운을 한번 점쳐보실까요?

728x90
반응형

'Phonics&Spelling Gam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scramble letters(철자 순서 배열하여 낱말 만들기) 게임  (0) 2024.02.13
Rhyming Musical Chair(라임 뮤지컬 체어)  (0) 2024.01.24
Spelling Bee  (1) 2024.01.07
Hangman Game  (1) 2024.01.05
Action Spelling  (0) 2024.01.04
728x90
반응형

캐리비안의 해적(Pirates of the Caribbean) 이야기를 아시나요?

캐리비안의 해적선에서 캡틴과 선원이 되어 활동해 볼까요?

 

저학년은 물론, 고학년 아이들에게도 반응이 매우 좋은 활동이랍니다.

또한 숨이 찰만큼 활동성이 강하기도 하고요.

Pirate Ship은 Captain의 지시를 잘 듣고, 빠르게 임무를 수행하는 Physical Game입니다. 

효과적인 Warm Up 활동으로도 좋습니다. 

1. 활동 목적

Captain의 지시를 듣고, 정확하게 따르거나 임무를 수행하는 게임

 

2. 활동 구성: Class Work

 

3. 활동 시 유의사항

- Port, Starboard, Bow, Stern는 배의 왼쪽, 오른쪽, 앞쪽, 뒤쪽을 뜻해요.

 어려워할 경우 West, East, North, South로 바꾸거나,

  Left, Right, Up, Down 등 보다 쉽고 익숙한 낱말로 바꾸어 진행해요.

- 지시문이 익숙해지면, Captain의 역할을 희망하는 학생에게 주고 진행할 수 있어요.

 

4. 활동 방법

① 체육관이나 넓은 장소에 자유롭게 서서 시작해요.

 - 선생님의 목소리가 명확하게 들리는 거리까지 허용할 수 있어요.

 - 선생님이 Captain이 되어, 선원들(학생들)에게 여러 가지 명령문을 말합니다.

② 배의 왼쪽, 오른쪽, 앞쪽, 뒤쪽을 Port, Starboard, Bow, Stern라고 말해줍니다.

 - 배의 내부 구조를 말하며 실제로 이동해 봅니다.

‘Three Men in a Lifeboat’ 라고 말하면 3명이 한 그룹이 되어 재빨리 제자리에 앉아요.

‘Captain's Coming’이라고 말하면 멈추어 서서, "Yes, Sir." 외치고 경례를 해요.

‘Stormy Weather’라고 말하면 폭풍우에 휩쓸리듯 좌우로 왔다 갔다 움직여요.

‘Compass Point’라고 말하면 중앙으로 모두 모여야 해요.

'Submarines' 이라고 말하면 바닥에 누워 한 다리만 올려서 잠수함처럼 만들어요.

 

Pirate Ship 게임은 특별한 준비물이 필요 없답니다.

운동장이나 체육관과 같은 넓고 안전한 공간만 있다면,

얼마든지 해 볼 수 있지요.

단, 운동장(마사토)에서는 Submarines는 하기 어려워서 다른 동작으로 바꾸어서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Physical Gam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ger Tag(손가락 술래잡기)  (0) 2024.01.26
Simon Says(가라사대 게임)  (0) 2024.01.17
Red Rover(우리 집에 왜 왔니)  (0) 2024.01.09
Hot Potato  (0) 2024.01.07
Duck, Duck, Goose  (0) 2024.01.03
728x90
반응형

등(back)이나 이마(forehead)에 있어서

player는 볼 수 없는 낱말을 맞히는 활동입니다. 

낱말 카드의 위치에 따라,

Words on back(등 뒤에 낱말 카드 붙이는 경우) 또는

Words on forehead(이마 위에 낱말 카드 붙이는 경우) 게임이 됩니다.

 

포스트잇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옷이나 이마에 붙이는 경우, 잘 떨어집니다.

옷에 붙이는 경우는 테이프 또는 부직포(깔깔이)를 활용할 수도 있어요.

이마에 붙이는 경우는 부직포 머리띠에 깔깔이와 보슬이를 활용하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활동 준비>

- Target words를 준비해요.

- 등 뒤에 word card를 붙여요.

  (아이들은 등 뒤에 붙은 낱말을 알지 못해요.)

 

<활동 방법>

1. 등 뒤에 붙은 word를 알아맞히는 활동입니다.

2. 교실 내에서 친구들을 만나 질문합니다.

3. 한 명의 친구에게는 1개의 질문만 할 수 있어요.

4. Yes/No로 답할 수 있는 질문만 할 수 있어요.

5. 10분 간 묻고 답하며, 답을 알게 되면 자신의 자리로 돌아갑니다.

6. 시간 내에 답을 알아맞히면 승리!

7. 이미(forehead)에 붙여서 하는 경우는 아래 그림처럼 진행되겠죠?

 

<'Words on Back' Classroom English>

  • Today, we're going to play a fun game called "Words on Back."
  • Each of you will have a word on your back.
  • Let me show you an example. Pretend my word is "elephant."
  • You can't see it, but you can ask me questions to guess the word.
  • Ask questions like "Is it an animal?" or "Can you eat it?"
  • The answers can only be "yes" or "no."
  • We'll play for 10 minutes. After that, we'll reveal the words.
  • Keep asking questions until you know the word.
  • Okay, time's up! Let's all come back together.

Words on Back의 장점은 다음과 같아요.

첫째, 무엇인가를 추측한다는 것은 즐거운 활동이에요.

둘째, 한 친구에게 1개의 질문만 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친구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어요.

 - 게임 상황이라는 context로 다양한 친구들과 소통할 수 있어요.

셋째, 어떻게 질문해야 답을 알아낼 수 있을지를 생각하게 해요.

 - 영어 뿐만 아니라, 전략적인 사고를 하게 됩니다.

 

이렇게 익힌 낱말은 아이들의 기억 속에 오래 남을 것 같아요.

Word Card만 있으면 간단히 시도해 볼 수 있는 게임이랍니다. 

Let's figure it out!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파리채(fly swatter)를 꼭 파리만 잡을 때 쓰라는 법은 없겠죠?

요즘은 파리채 보기도 어렵네요.

 

이번 게임은 어떤 카드를 활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해요.

낱말, 어구, 문장 카드를 사용하면 읽기 게임이 될 수 있고,

그림 카드를 사용하면 듣기 기능에 집중한 게임이 될 수도 있어요.

 

1. 활동 목적

듣고 해당하는 카드를 찾아 파리채로 빨리 치는 게임

 

2. 활동 구성: class work

 

3. 활동 준비: 카드, 파리채(2개)

 

4. 활동 방법

① 사용할 카드를 칠판에 넓게 붙여둡니다.

② 2팀으로 나누고 팀 내 참가 순서를 정합니다.

③ 칠판 앞에 의자 두 개를 두고, player들은 의자에 앉아 파리채를 잡아요.

 - 이때 칠판을 등지고 앉도록 합니다. 

④ 교사는 준비한 질문을 합니다. 

  숫자 카드를 사용할 경우, 아래와 같은 예시 질문이 가능하겠죠?

 - What's the answer of eight plus seven? (정답 15)

 - What is the next number after 99? (정답 100)

 - What's the answer of sixty minus forty? (정답 20)

⑤ 질문을 듣고, 정답 카드를 찾아 파리채로 쳐요.

⑥ 먼저 카드를 파리채로 친 사람이 점수를 얻어요.

⑦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게임에 참여해요.

 

5. 활동 상의 유의점

 - 파리채를 구하기 힘들 때는, 장난감 뿅망치도 좋아요.

 - 도구를 활용할 때는 항상 안전하게 사용할 것을 꼭 지도해요.

  (장난이라도 친구에게 휘두르지 않도록 지도)

 - 게임 참가자를 제외한 다른 친구들이 위치를 가르쳐주지 않도록 약속해요.

  (공정한 게임 운영을 위해, player가 문제 해결할 기회를 주기 위해)

 

6. 변형 아이디어

 - 그림 카드를 이용하면, '듣기' 게임으로 바꾸어 진행할 수 있어요. 

 - 이런 질문들이 가능하겠죠?

  Q1: I am lost in the forest. What do I need to find my way out?

  Q2: What are you thinking of getting for your friend's birthday?

실제 이 게임은 경쟁이 넘쳐나는 게임이에요.

박진감도 넘치고요.

 

하지만 지나친 경쟁은 항상 부작용도 동반하는 법~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3가지 꿀팁을 알려드립니다.

 

첫째, 칠판을 등지고 의자에 앉아서 준비하도록 합니다.

칠판을 보고 있으면, 교사의 질문을 다 듣기도 전에 재빨리 행동하는 친구들이 있어요.

이 친구들은 물론 실력과 순발력이 뛰어난 학생들이지만,

다른 친구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기회를 줄 수 있지 않을까요?

 

둘째, 게임의 호흡을 조금 침착하게 유지하도록 합니다. 

서 있는 것보다 의자에 앉아 있도록 하는 것,

질문을 다 듣고 의자에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모두 그런 맥락이에요.

 

셋째, 매 라운드(round) 마다 카드의 위치를 조금씩 바꿉니다.

카드의 위치를 기억할 수 있기에, 매 라운드마다 바꾸어 긴장감을 더해주는 것이죠.

실질적으로 좀 더 읽기에 집중할 수 있겠죠?

 

Fly Swatter 게임 한판 어떠세요?

아이들에게 파리채라는 물건도 익숙해 질 수 있답니다.

 

 

728x90
반응형

'Play Car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 Fish(고 피쉬) 카드 게임  (1) 2024.01.31
Words on Back(등 뒤의 낱말 알아맞히기)  (0) 2024.01.14
Card Race(카드 달리기)  (1) 2024.01.12
Slap and Snatch(카드 빨리 집기 게임)  (2) 2024.01.01
Memory Game  (0) 2023.12.29
728x90
반응형

영어 시간이 아니더라도,

뱀과 사다리 보드게임은 보신 적이 있을 거예요.

실제 보드에는 뱀과 사다리, 그리고 칸 마다 쓰인 숫자를 볼 수 있어요.

아래 그림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히 그려보았습니다. 

<활동 준비>

1. Snake and Ladder 보드게임판을 준비합니다. 

2. 칸 마다 target words/phrases/sentences를 써요.

3. 주사위와 말(token, game piece 등)을 준비해요.

 

<활동 방법>

1. 각자 말(game piece, token)을 정하고, 시작칸에 말을 놓아요.

2. 누가 먼저할 지 정해요.

3. 먼저 하는 사람은 주사위를 굴리고, 나온 숫자대로 이동해요.

4. 사다리 끝에 걸쳐 있는 칸에 도착하면, 사다리 위로 올라갈 수 있어요.

If a player lands on the bottom of a ladder, they can climb up to the top of the ladder.

5. 뱀의 머리에 있는 칸에 도착하면, 꼬리칸까지 내려와야 해요.

If a player lands on the head of a snake, they must slide down to the tail.

<Snake and Ladder 보드 게임의 장점>

1. 보드게임은 기본적으로 재미있는 활동이에요.

2. 주사위를 굴리거나, 뱀이나 사다리칸은 모두 우연의 요소를 가미해 줍니다.

 - 영어 실력에 자신감이 없는 아이들도 충분히 이길 수 있는 기회가 있어요.

3. Blank Snake & Ladder 워크시트를 준비한 뒤, 아이들에게 칸을 채우도록 해요.

 - 쓰기와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어요.

 - 스스로 보드게임을 만들어 할 수 있어요.

 - 활동에 주도성을 갖도록 할 수 있어요. 

 

주사위 굴려가며 Snake and Ladder 게임 한판 어떠세요?

728x90
반응형

'Play on the Bo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rabble(스크래블)  (2) 2024.02.14
Guess Who(게스후)  (1) 2024.01.23
Four in a Row(Connect Four)  (0) 2024.01.21
Bingo Board(빙고)  (1) 2024.01.10
Tic Tac Toe Game  (1) 2024.01.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