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수업의 정의에 대해서는 이전 글에서 설명드렸습니다.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많은 학자들의 정의가 있지요.
다양한 교과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해 온 결과,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아래의 3가지입니다.
1. 교사가 일방적으로 던져주는 문제가 아니라, 학생이 도출해 내는 문제, 즉 문제 발견력이 key이다
2. 혼자 하는 프로젝트보다는 다양한 특장점을 가진 학생들이 같이 어울리는 team work가 중요한 과정이다
3. 발견한 문제의 해결 방법이나 과정 중 느꼈던 생각, 감정, 의지, 다짐 등을 presentation 하는 과정은 필수다
이번에는 이어서 Hero project 교수학습과정안을 이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내용 목표와 언어 목표를 설정한 이후에는 보다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합니다.
Hero Project를 가지고 보다 작은 단위인 차시 계획을 세웁니다.
영어교과이지만, 관련된 다른 교과와의 연계점도 찾아 제시합니다.
또한 2차시 프로젝트를 통해 어떤 활동을 몇 차시에 하는지 계획합니다.
실제 프로젝트는 적어도 4차시 이상이여야 하지만
본 계획에서는 예시를 보여주는 차원에서 2차시로 계획합니다.
차시별 주제 활동 구성 계획을 마쳤다면, 평가 계획을 수립해요.
평가는 내용 측면과 언어 측면의 계획을 모두 고려합니다.
내용 목표와 언어 목표가 모두 수립되었기 때문이지요.
또한, 계획의 가장 마지막 부분은 교사의 전문성이 돋보이는 부분이라 하겠는데요
능숙한 교사들은 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이미 일어날 문제들, 학생들의 질문이 많을 부분, 교사가 놓치기 쉬운 부분 등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해당 교수학습과정안을 참고하여 자신만의 수업을 계획하는 또 다른 교사들도 있을 수 있고요.
바로 지도상의 유의점 부분입니다.
다른 글에서 설명드렸던 ICQ 전략이라든지, 학습지원대상학생(과거의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고려 사항 등을 기술하고 있지요.
다음 글에서는 실제 차시별 수업 계획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드리고
각 단계마다 사용되었던 worksheet의 예시 및 활동 예시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Connie쌤 영어 이야기 > 교수학습과정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ro Project: 1차시 Activity2 (0) | 2025.04.21 |
---|---|
Hero Project: 1차시 Activity1 (0) | 2025.04.17 |
PBL(프로젝트수업) 교수학습과정안: Hero Project(part3) (0) | 2025.04.14 |
PBL(프로젝트수업) 교수학습과정안: Hero Project(Part1) (0) | 2025.04.14 |
교수·학습 과정안이란? (0) | 202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