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뉴스 리포터가 되어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왜? 와 같은 질문을 하도록 합니다.

 

News Reporter 게임은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문장 구조를 연습하기 위한 게임입니다. 

바로 날카로운 질문하기!

Key Question 만들기!

바로 News Reporter 게임의 중심 아이디어입니다. 

1. 활동 목적

- 의문사(when, where, how, why)가 있는 의문문을 만들고 이에 적절한 응답하기

 

2. 활동 구성: group work

- 5명이 한 모둠을 이루는 것이 가장 좋아요.

- 4명보다 작다면, 1명이 2개의 역할을 갖고 활동할 수 있어요.

 

3. 활동 방법

① 가위 바위 보를 하여 순서를 정하며, 가장 먼저 하는 사람은 물건 이름이 적힌 카드를 뽑아요.

- Target words를 활용하여 낱말 카드를 미리 준비하기

② 나머지 4명의 학생은 각 의문사를 나타내는 고깔모자를 써요.

- 의문사 모자는 하나의 상징적인 준비물입니다.

- 준비하기 어렵다면, 포스트잇에 간단히 적어 옷에 붙이거나, sticky tape을 활용하셔도 됩니다. 

③ 자신이 맡은 의문사를 이용해 질문을 함

- When do you use it? 

- Where can you get it? / Where you do use it? 

- How do you use it?

- Why do you use it? / Why do you like it? 

- 예를 들어 정답이 soap이라면, 이런 질문을 하면서 어떤 물건인지 생각해 보는 것이죠.

④ 질문을 해 나가면서 4명의 학생들은 어떤 물건인지 알아맞히기

- 한 라운드를 모두 마쳐도 정답을 알 수 없을 때는 한 라운드 질문을 추가적으로 합니다.

 

4. 활동 시 유의사항

① 4개의 의문사를 활용하여 질문하기에 용이한 어휘 카드를 미리 준비하여 활용해요.

②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을 만드는 것을 어려워할 경우 sample expressions을 칠판, 보드에 게시해요.

 

5. News Reporter 활동의 장점

첫째, 언제나 그렇듯이 정답이 무엇인지 추측하고 예상하는 활동은 재미있어요.

둘째, 모든 사람의 질문과 답을 잘 들어야 추측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주의집중해요.

셋째, 정답을 알아맞히기 위해 보다 결정적인 질문 만들기에 몰입시킬 수 있어요.

 - 정말 영어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맥락을 주는 것은 중요해요!

넷째,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문장 구조의 반복적인 Input을 제공해요.

끝으로, 질문하고 대답하며 정답을 추측하는 과정을 통해 논리적, 비판적 사고력을 키워요.

 

그런데 의외로 아이들이 고깔모자 쓰는 것을 참 좋아해요!

아마 생일 기분이 들어서 그런 것일지도 모르지만요.

의문사가 붙어 있는 고깔모자 쓰는 것으로도, 그 아이에게 그 의문사는 평생 기억에 남을 수도 있어요.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문장 구조를 연습하기 위한 News Reporter 게임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Pictionary라는 기성 보드게임이 있습니다.

주어진 시간 내에 그림을 그리고, 같은 팀원이 어떤 그림인지 알아맞히는 게임이에요.

Picture+Dictionary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는데, 그 게임의 아이디어를 살짝 교실로 가져오도록 하겠습니다. 

 

Pictionary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1. 카드에 쓰인 낱말(어구, 문장)을 읽고,

2. Drawer는 주어진 시간 내에 빨리 그리고,

3. 같은 팀 친구들은 Guesser가 되어 어떤 낱말인지를 추측하여 알아내기입니다. 

pictionary 활동의 key question

 

<활동 방법>

1. 카테고리를 정합니다. 아래와 같이 정해 보겠습니다. 

pictionary category

2. 카테고리마다 10~20개 정도의 낱말(어구)을 준비합니다.

 - Target sentences가 있다면 문장 수준으로도 적용 가능합니다.

3. 팀별로 순서를 정합니다.

 - 팀은 최소 2명이어야 합니다.(1명 drawer, 1명 guesser)

4. 순서가 되면 카테고리에서 낱말 1개를 뽑아요.

5. Drawer는 칠판(또는 보드)앞에서 뽑은 낱말을 숙지한 뒤 그릴 준비를 합니다.

6. 주어진 시간(대략 10초 내외)내에서만 그려야 해요.

 - 완성하지 못했더라도 그만 그려야 합니다.

 - 좀 더 박진감 넘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5초도 좋아요!

7. 우리 팀 Guesser는 어떤 낱말인지 알아맞혀야 합니다. 

8. 알아맞히면 승리!

9. 다른 팀의 순서를 계속하여 진행합니다. 

 

<Pictionary 활동의 장점>

첫째, 무엇인가를 예상하고 추측하는 것은 즐거운 일입니다.

둘째, 영어와 함께 그림을 그리는 것은 언어 지능, 예술 지능을 골고루 올려줍니다.

셋째, 영어를 잘 하지 못하지만 그림을 잘 그리는 아이들에게 좋은 기회가 됩니다. 

넷째, 영어 낱말을 읽고, 읽은 것을 그림으로 표현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언어를 익히게 됩니다. 

 

픽셔너리 게임을 화이트보드와 마커를 이용하여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문장 수준으로까지 진행할 수 있답니다. 

팀원과 함께 마음을 맞춰 가며 게임한다는 뜻에서 협동 게임으로 소개해 드렸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Go Fish 카드게임을 소개합니다.

 

일반적인 카드로 게임할 수 있지만, 플래시 카드나 어휘 카드, 그림 카드를 활용할 수 있어요.

그러나 짝이 되는 카드(a pair of card)가 있어야 해요.

짝이 되는 카드가 상대방에게 있는지 예상하고, 묻고 답하며 낱말을 익힐 수 있는 게임이 바로 Go fish 카드 게임입니다. 

go fish card game setting

아래 예시와 같습니다. 

같은 낱말이 쓰여 있는 낱말 카드가 모두 20장 있어요. 

20장 2세트를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총 40장).

4명의 아이들이 같이 플레이합니다.

eggs milk lemonade meat ice cream
eggs milk lemonade meat ice cream
orange juice cake cheese fruit water
orange juice cake cheese fruit water

 

<활동 방법>

1. 카드 20장을 잘 섞어 5장씩 나누어 가집니다.

- 나머지 20장의 카드는 낱말이 보이지 않게 뒤집어 가운데에 모아 둡니다. 

2. 자신이 가진 카드는 다른 플레이어들에게 보여주지 않습니다. 

3. 자신의 차례가 되면 다음 2가지 중, 1가지를 할 수 있어요.

- 만약 같은 낱말 카드를 가지고 있다면, 낱말 카드가 보이게 내려놓기

- 짝이 되는 카드를 갖고 있지 않다면, player 중 한 명을 지목하여 다음과 같이 질문하기

  "Do you have any _______?"

go fish card game 질문

4. 만약 지목받은 사람이 해당 낱말카드가 있다면,

  "Yes, here we go."라고 말하고, 그 카드를 주어야 합니다. 

5. 만약 지목받은 사람이 해당 낱말 카드가 없다면,

  "Go fish."라고 라고 대답해요.

6. 추측이 틀렸기 때문에, 가운데에 모아둔 카드 중 맨 윗 장을 가져가야 합니다. 

7. 카드 더미에서 가져온 낱말 카드와 내가 가진 낱말 카드 중 짝이 되는 것이 있으면 내려놓습니다.

8. 없으면 그다음 사람에게 순서가 넘어갑니다. 

9. 순서를 번갈아 가며, 짝이 되는 카드를 내려놓거나 카드 더미에서 카드를 가져옵니다. 

10. 카드가 없어질 때까지 계속하며, 가장 많은 짝 카드를 만든 사람이 승리!

 

짝이 되는 카드만 여러 장 있다면 손쉽게 할 수 있는 게임입니다.

플레이어가 4명보다 많다면 카드를 더 적게 갖고 시작하면 됩니다.

 

<Go fish 카드 게임의 장점>

첫째, 카드 게임 자체가 목적이기 때문에 영어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됩니다. 

둘째, 누가 이 카드를 가지고 있을지 추측하고 예상하는 일은 흥미로워요.

셋째, 짝이 되는 카드를 보며 자연스럽게 영어 낱말을 읽고 눈으로 익힐 수 있어요.

 

수업 시간에 사용한 플래시카드, 그림카드, 낱말카드, 문장카드 등도 버리지 마시고

한번 더 Go fish 게임에 활용해 보세요!

별도의 준비물을 만들지 않아도 아이들이 정말 좋아하고 시간 가는 줄 모르게 하는 카드 게임이랍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Rip은 '(종이 등을) 찢다'는 뜻입니다. 

Strip은 '을 가느다란 조각으로 자르다' 또는 '길쭉한 조각'을 뜻하며,

예시 몇 개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아요. 

'a strip of paper'는 기다란 종이 띠지를 뜻합니다.

또는 'Comic Strip'이라는 표현도 들어보셨을 거예요.

 

왜 단어 설명을 먼저 하냐고요?

두 낱말 모두 다른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지요. 

 

'Rip Bingo'는 종이 띠에 Target Words를 쓴 뒤, 찢어서 빙고를 만드는 쓰기 활동이랍니다. 

단순하게 몇 번 쓰기를 반복하는 것은 지루할 수도 있어요.

Rip Bingo Writing

<활동 방법>

1. 종이 띠 1장을 준비해요.

- 쓸 낱말, 어구, 문장의 개수에 따라 길이는 적절히 조정해요.

2. 오늘 Clothing에 대해 배웠고, 다음과 같이 Target Words를 제시해요.

- Shirt, Skirt, Pants, Boots, Hap, Cap, Dress, Shoes, Socks, Jacket, Vest 등

3. 종이 띠에 쓰고 싶은 낱말 5개를 골라서 나란히 써요.

Rip Bingo Writing Activity 활동 방법 요약

 

4. 종이 띠에 5개 낱말을 골라 쓴 뒤, 게임을 시작해요.

5. 선생님이 낱말 1개를 골라 학생들에게 보여줘요.

6. 만약 그 낱말이 자신이 가진 strip의 양 쪽 끝에 있다면, 해당 낱말이 있는 부분을 조심스럽게 찢어요.

- 1개를 찢었다면, 이젠 낱말 4개가 남겠죠?

- 낱말이 가운데에 있다면 아쉽지만 찢을 수 없어요!

7. 이런 방법으로 양쪽 끝에 낱말이 있을 때만 찢어서 버릴 수가 있습니다.

8. 낱말 1개가 남을 때까지 진행하며, 낱말 1개를 가장 먼저 만든 친구가 승리!

 

<활용하면 좋을 Teacher Talk>

Each of you has a strip of paper.

모두 종이 띠 1장씩을 가지세요.

 

You get to decide what words go on it!

종이 띠에 어떤 낱말이 있을지는 여러분이 결정해요. 

 

Take a moment to write some words you want to write on your strip.

종이 띠에 여러분이 쓰고 싶은 낱말을 쓰는 시간을 갖죠.

 

If I say 'dress' and 'dress' is at the end of your strip, you can rip it off like this. 

만약 선생님이 'dress'를 말했고, 여러분이 가진 종이 띠의 끝에 그 낱말이 있으면, 찢을 수 있어요.

 

As I call out words, check if they're at the end of your strip.

선생님이 낱말을 말하면, 종이 띠 끝에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If they are, rip them off!

만약 있다면, 찢을 수 있어요!

 

Keep going until you've ripped off all your words.

모든 낱말을 찢을 때 까지 계속해요.

<Rip Bingo 쓰기 활동의 장점>

첫째, 단순히 쓰는 것보다 아이들이 자기가 쓰고 싶은 낱말, 어구, 문장을 선택한다는 장점이 있어요.

- '선택'은 의외로 아이들의 자발성과 참여도를 높인답니다.

둘째, 어떤 낱말, 어구, 문장이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모두 주의집중한답니다.

- '조용히 하세요.', '여기 보세요.' 잔소리가 필요 없죠.

셋째, 영어에 자신감이 없어하는 아이들도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돼요.

- 영어 실력에 상관없이, 승자가 나올 수 있는 활동은 slow learner들에게 매우 좋아요.

넷째, '종이를 찢는 행위' 자체가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는 날려줍니다.

 

종이 1장만 있다면 특별한 준비 없이 해 볼 수 있는 

재미있는 쓰기 활동 Rip Bingo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문장 구조를 연습하는 재미있는 게임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특별한 이름을 붙이고자 하였으나,

직관적으로 가장 이해하기 쉽게 'Circle Game'이라고 부르도록 하겠습니다. 

1) 활동 목적

- 낱말을 보고 문장을 만들어 말하도록 함으로써 영어 문장의 구조 연습하기

- 서술문, 의문문, 부정문, 명령문 등 다양한 문장 구조 연습하기

 

2) 활동 구성: group work

 

3) 활동 방법

① 게임 참가자는 원형으로 마주 보고 서 있도록 합니다. 

② 술래는 원 한 가운데 서 있도록 합니다. 

- 다른 친구들은 플래시카드(또는 낱말카드)를 모두가 잘 보이도록 들어요.

③ 연습할 구문이 'I would like~.'임을 소개해요.

④ 술래는 참가자들의 카드를 보고 문장을 만들어 말해요.

- 예를 들어, "I would like bananas and pie."

⑤ 이 때 바나나 카드를 가진 사람과 파이 카드를 가진 사람은 서로 자리를 바꾸어야 해요.

자리를 바꾸려는 순간 술래도 두 자리 중 한 자리를 재빨리 차지해야 해요.

⑥ 원 안으로 들어가지 못한 사람이 새로운 술래가 되어 활동을 계속해요.

 

4) 활동 시 유의사항

- 연습할 문장 구조는 정확하게 안내하거나 필요한 경우  TV나 보드에 게시해요.

- 술래는 반드시 크고 정확하게 해당하는 목표 문장을 말해야 한다고 강조해요.

- 정작 게임에만 몰두하여 Target Expressions 습득이 소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해요.

- 원 안에서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에 이동할 때 부딪히거나 밀지 않도록 유의해요.

 

<Circle Game의 장점>

첫째, 언어의 창의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초보적인 수준이라고 하더라도, 아이들 스스로 문장을 만들어 말하는 경험은 소중해요.

둘째, 술래가 어떤 문장을 말할지 모두가 경청하게 됩니다.

내가 가진 카드가 뽑힐 지도 모르기 때문에, 강조하지 않아도 모두가 열심히 귀 기울여 듣지요.

셋째, 아이들에게 선택권이 있는 활동은 재미있어요.

술래가 된 아이는 '어떤 낱말을 사용할까?' 하면서 즐거운 고민을 하게 되지요.

실제로 이 게임은 술래가 되기를 오히려 바라는 게임입니다. 

 

카드만 있다면 실제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활동이에요.

언어의 창의성을 느낄 수 있으면서도,

가벼운 움직임과 함께 하는 Circle Game,

한번 시도해 보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놀이 아시죠?

오징어 게임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도 유명해진 것 같기도 하고요.

 

그런데 이 게임에도 외국 버전이 있습니다.

What time is it, Mr. Wolf?

What time is it, Mr. Fox?

이와 같은 이름으로 불리는 나라도 있어요. 

물론 우리나라 버전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입니다. 

 

규칙은 조금 다르지만, 

상당히 유사한 게임이랍니다. 

 

일종의 tag게임이기 때문에 활동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가 필요합니다. 

 

<What's the time, Mr. Wolf? 활동 방법>

① 벽이나 나무, 또는 담장 이 있는 넓은 공간이 필요해요.

② Mr. Wolf 술래 한 명 뽑은 뒤 벽을 마주 보고 서 있어요.

- 나머지 아이들은 출발점을 정해 출발점에서 Mr.Wolf를 바라보고 서요.

③ 아이들이 Mr. Wolf 에게  "What s the time, Mr. Wolf?" 라고 큰 소리로 외쳐요.

Mr. Wolf 는 "It's two o'clock."  과 같이 정각 시각을 말해요.

- 반드시 정각 시각이어야 합니다.

- Mr. Wolf는 뒤를 돌아볼 수 없어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활동과  가장 큰 차이점이에요!)

⑤ 아이들은 Mr. Wolf 가 말한 숫자만큼 벽 쪽을 향해 걸어서 다가옵니다. 

⑥ ④~ ⑤ 까지의 활동을 반복하며 점점 Mr. Wolf 를  향해 가까이 다가와요.

⑦ Mr. Wolf는 충분히 가까이 왔다고 생각되는 순간 “Dinner Time"이라고 외쳐요.

⑧ 이 때 나머지 아이들에게 잡히지 않도록 도망갑니다. 

- Mr. Wolf에게 잡히지 않고 출발점까지 무사히 돌아가면 승리!

- Mr. Wolf 에게 잡힌 사람이 새로운 Mr. Wolf 가 되어 게임을 계속 진행해요.

 

여기서 한 가지!

Do you have time?

Do you have the time?

참 헷갈리는 데요. 

Do you have time?은 상대방에게 시간이 있는지 묻는 표현이고요.

Do you have the time?은 현재 시각을 묻는 표현이랍니다. 

What's the time?은 Do you have the time? What time is it? 과 같은 질문이네요.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게임과 비교도 하면서 

시각을 묻고 답하는 게임을 해 보는 것도 재미있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꼬마야 꼬마야, 뒤로 돌아라''

'꼬마야 꼬마야, 땅을 짚어라'

'꼬마야 꼬마야, 만세를 불러라'

'꼬마야 꼬마야, 잘 가거라'

 

하는 줄넘기 놀이, 다들 해 보셨겠지요?

이것 역시, 외국 버전이 있답니다.

 

이런 노래를 일명 Nursery Rhymes라고 하는데요. 

Nursery Rhymes의 정의를 간단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nursery rhyme is a traditional poem or song for children in Britain and many other countries.

 

Teddy Bear Nursery Rhymes를 부르면서 줄넘기를 하는 놀이입니다.

멜로디도 바로 '꼬마야 꼬마야'와 똑같아요.

우리말 버전이 있으니, 아이들도 쉽게 따라 한답니다.

Teddy Bear Jump Rope

 

<Teddy Bear Nursery Rhymes 줄넘기 놀이>

괄호 안은 행동으로 표현해야 하는 지시문이에요.

 

Teddy Bear, Teddy Bear, turn around [turn around]

Teddy Bear, Teddy Bear, touch the ground [touch the ground]

Teddy Bear, Teddy Bear, show your shoe [hold up your foot]

Teddy Bear, Teddy Bear, that will do!

 

Teddy Bear, Teddy Bear, go upstairs [raise knees as if walking up stairs]

Teddy Bear, Teddy Bear, say your prayers [hold hands together as if saying prayers]

Teddy Bear, Teddy Bear, turn out the lights [pretend to turn off light]

Teddy Bear, Teddy Bear, say goodnight! [say goodnight ]

Nuersery Rhymes for Teddy Bear

우리나라 버전과 차이점이 조금 있어요.

1절에 이어 2절까지 있다는 점과,

가사가 약간 다르다는 점이 바로 그것인데요.

우리말 버전과 영어 버전을 비교해 보고 해 보는 것도 재미있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Teacher Talk이 무엇일까요?

교사가 수업 과정 중에 사용하는 언어(language)및 의사소통(communication) 자체 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모든 교과에서 중요하나,

특히 EFL 상황 영어 교과에서 Teacher Talk의 중요성은 말할 것도 없죠.

 

"나 스스로 영어 의사소통도 자신감이 조금 떨어지는데, 어떻게 해야 하지?"

"발음에 아이들이 영향을 받을 수도 있지 않나? 부담스러운걸."

"틀린 표현이나 문장을 써서, 아이들이 잘못 배우면 어떻게 하나?"

이런 걱정들을 하다 보면

점점 더 어려운 낱말, 만연체가 되어 가는 설명, 길어지는 문장을 쓰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도 있어요.

이런 부담감을 떨쳐내기 위한 방법을 몇 가지 안내드려요.

 

효과적인 Teacher Talk을 사용하기 위한 Tips를 알려드립니다. 

 

첫째, Speak Slowly and Clearly: 

천천히, 그러나 명확하게 말하세요.

초보교사는 Teacher Talk자체를 열심히 준비하고

어느 정도 외워서

교실 내에서 쏟아내는 경우가 있죠

잊어버릴까 봐 점점 속도는 빨라지고요.

내가 말하는 정보가 아이들에게 정보로 천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여유를 가지세요.

어차피 서로 의사소통하기 위한 언어잖아요. Take your time!

 

둘째, Use Simple Vocabulary:

단순한 어휘를 사용하세요.

아이들의 어휘 수준을 생각해서 쉽고, 단순한 어휘를 선별하세요.

설명하기 복잡한 concepts이라면 보다 단순한 수준으로 나눠서 설명해도 됩니다. 

 

셋째, Repeat Important Information:

중요한 정보는 반복하세요.

key instructions 또는 information을 반복하는 것은 학습에 강화가 됩니다. 

또한 반복은 이해와 기억력을 강화하는 데도 도움을 주지요. 한 번 말했는데, 다 알아들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선생님의 기대인 경우가 많아요.여러 번, 중요한 것은 강조하여 반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넷째, Provide Visuals: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세요.

Teacher Talk과 함께 시각 자료, 작은 소품, 실물 교구, 제스처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에요.

말로만 하는 것보다 당연히 비언어적인 표현이 함께 하면 도움이 되겠죠?

 

다섯째, Encourage Interaction:

상호작용이 활발하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세요.

Teacher Talk이라고 하여 선생님 혼자만 몇 분간을 말한다면

아이들도 힘들고, 선생님도 힘드세요.

선생님의 말씀을 듣다가 질문이 있거나 할 말이 있는 경우에는

자유롭게, 편안하게 질문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세요.

open-ended questions을 통해 창의적인 질문도 격려해 주세요. 

 

여섯째, Be Patient:

인내심을 가져요.

선생님이 질문한다고 하여, 아이들이 즉각적으로 답변을 잘할 수 있을까요?

특히 EFL 상황에서는 아이들이 선생님으로부터 온 정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데 시간이 필요해요.

이때 바로 인내심이 필수적인 것이지요.

잘 이해를 못 할 수도 있어요. 

너무 조급해 하지 말고, 다시 설명해 줄 수도 있고, 비언어적인 힌트를 보다 많이 사용할 수도 있어야 해요. 

 

일곱째, Use Positive Reinforcement:

긍정적인 강화(칭찬, 격려 등)를 사용하세요.

학생의 자신감을 높여주기 위해 칭찬과 격려로 많이 하세요.

작은 성취를 한 시간의 수업에서 한 번이라도 느끼게 해 주는 것이 중요해요. 단순히  Excellent! Good job! Very good! 을 말하는 것보다학생이 성취한 것을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는 것이 보다 좋아요. 

 

여덟째, Check for Understanding:

이해 정도를 확인해요.

지난 글에서 ICQ와 CCQ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바로 이 Teacher Talk을 통해 아이들이 선생님의 지시 사항이나 안내를 잘 이해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질문하기, 답하기, 잘 이해했는지 확인하기

이런 과정이 바로 언어를 사용하는 과정인 거죠.

 

아홉째, Avoid Slang and Idioms:

은어나 관용적인 표현 사용은 피하세요.

은어나 관용적인 표현을 잘 사용한다고 하여 유창한 것은 아닙니다.

특히 그것이 교실과 같은 공식적인 자리라면?저는 그것은 아니라고 확신합니다. 아이들에게는 어떤 표현이 정확하고 적절한 표현인지에 대한 기준 자체가 없어요.

 

열째, Model Correct Pronunciation:

정확한 발음의 모델을 보여주는 기회로 활용해요.

물론 선생님이 자신이 없다고 할지라도

정확한 발음, 적절한 문장 구조를 보여주는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지요.

 

영어 시간의 Teacher Talk은 

너무 부담 갖기 보다

너무 한 순간부터 잘하려고 하기보다

차근차근 연습하면 나날이 성장해 나가는 부분이에요.

 

수업 시간을 머릿속으로 떠올려보면서

자연스럽게 시뮬레이션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