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테이블에 맛있는 음식...이 아닌 낱말이 잔뜩 차려져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다소 실망스러우시다고요?

 

창의적이면서도 재미있는 문장 쓰기 활동을 소개합니다.

바로 Words on the Table 이라고 이름붙여 보았습니다. 

Words on the Table 활동 안내

위와 같은 낱말 접시가 놓인 테이블이 있습니다.

한 개의 낱말은 최대 3번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대한 몇 개의 문장을 만들어 쓸 수 있을까요?

- She gets on the bus.

- She gets up at seven. 정도가 되겠네요. 

물론 문장으로 쓸 때는 대문자로 시작하기, 구두점으로 마치기 등을 지킬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get이 아닌 gets를 고를 수 있도록 해야 하겠죠?

 

선생님께서 낱말을 모두 준비해도 좋지만,

아이들에 3~4개 정도 낱말을 쓴 뒤 보드에 붙이고 활동해도 좋습니다. 

 

아래는 실제 수업 때 활용해 보았던 자료입니다. 

 

<활동 안내>

5분~10분 정도를 주고, 7개의 문장을 만들어 써 보도록 합니다. 

1개의 낱말은 최대한 3번까지 사용할 수 있어요.

아이들의 수준에 따라 Solo Work로 진행할 수도 있고, Pair Work로 진행해도 좋습니다. 

Words on the Table 활동 예시

자, 5분이 지났습니다.

7개의 문장을 만들어 쓰기 미션 성공하셨나요? 

Words on the Table worksheet 예시

문장 개수 뿐만 아니라, 가장 긴 문장을 만든 경우 보너스 점수를 주는 것도 좋습니다

너무 짧게만 문장을 쓰는 것을 피하도록 하기 위함이지요. 

 

생각보다 창의적이고 재미있는 문장을 창조해내는 아이들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거예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Dictation은 받아쓰기인데요.

Running Dictation이라니, 달리는 받아쓰기일까요?

맞습니다. 

Running Dictation은 Runner와 Writer가 한 팀이 되어

달리고, 읽고, 기억하고, 다시 달리고, 말하고, 듣고, 받아쓰고, 완성하는

그런 협동게임이랍니다.

running dictation 게임 요약 설명

<활동 방법>

1. 교실 이곳, 저곳에 Target Expressions를 붙여 둡니다.(5~8개 정도)

 - 낱말일 수도 있고,

 - 문장일 수도 있고,

 - 대화 순서가 있는 Dialogue일 수도 있고,

 - 순서가 있는 Story일 수도 있습니다. 

running dictation Target Expressions 예시

2. 2명이 한 팀이 되어, 한 명은 Runner, 다른 한 명은 Writer가 됩니다. 

3. Writer의 역할은 정해진 자리에 앉아서 Runner가 기억하고 온 Target Expressions를 정확하게 받아 씁니다. 

4. Runner의 역할은 교실 이 곳, 저곳에 붙어 있는 Target Expressions를 한 곳 씩 찾아가

 - 최대한 정확하게 Target Expresions를 기억한 뒤

 - Writer에게 돌아가 기억한 Target Expressions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 혹시 기억을 하지 못하면 다시 Target Expressions에 돌아가 다시 읽고 오면 됩니다. 

5. Writer가 모든 Target Expressions를 쓰면 활동은 끝납니다.

 - 얼마나 정확하게 썼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시간 제한을 두어 활동한다면, 시간 내에 모든 Target Expressions를 받아쓴 팀이 이깁니다. 

 

<활동 상의 유의점>

첫째, Runner가 다시 Writer에게 돌아와 말할 때는 반드시 Writer 옆 의자에 앉아서 말하도록 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급한 마음에 Writer들은 Runner 근처에서 큰 소리로 말하는 경우가 많아요.

규칙으로 정해두고, 반드시 의자에 앉아서 조용히 Target Expressions를 전하도록 합니다.

또한 큰 소리로 말하게 되면, 다른 팀이 듣게 되어 공정하지 못한 면도 있어요. 

둘째, 학생수가 많다면 Runner 2명, Writer 2명 등으로 게임을 해도 됩니다.

서로 협동하여 기억하고, 협동하여 쓰도록 하는 것도 좋답니다. 

 

 Running Diatation은 일반적이지만 활용도가 높은 게임입니다.

특히 Dialogue나 Story를 Target Expressions로 활용한다면, 일단 전부 받아쓴 후, 

그 순서를 알맞게 배열해 보는 활동까지 연결되기 때문에

단순히 쓰기에서 그치지 않고, 글의 맥락과 순서까지 생각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요.

 

협동하는 받아쓰기,

Running Dictation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통 Pictograms(픽토그램)이라고 하면

올림픽에서 볼 수 있는  stick man 그림을 떠올리실 텐데요.

이 활동에서의 픽토그램은 그림 글자 정도로 생각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pictogram 픽토그램

낱말을 외우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반복하여 써서 외울 수도 있겠죠.

Spelling Bee와 같이 철자 하나하나를 소리 내어 말하는 방법도 있을 테고요.

그런데 이 Pictogram은 낱말의 모양(shape)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방법이에요.

Making words memorable! 이라고 할 수 있겠죠?

 

Orange를 O-R-A-N-G-E라고 외울 수 있지만, 

Orange의 O를 오렌지 그림으로 그려보는 것이죠.

아마 이렇게 외운 orange는 잊어버리기 어렵겠죠?

Snake의 S도 뱀 그림으로 표현해 보고요.

아래 그림은 예시입니다.

pictogram 예시 1

꼭 그림을 그리지 않아도 됩니다.

낱말이 가진 뜻에 따라 낱말을 표현해도 되지요.

예를 들어 tall이라는 낱말은 길쭉길쭉하게 쓸 수도 있고요.

fat이라는 낱말은 두껍게 쓸 수도 있어요.

small을 아주 아주 작게 쓴다면, 아이들에게는 뜻과 함께 그 낱말을 잊어버리지 못할 거예요.

pictogram 예시 2

Pictograms은 낱말 수준의 활동이지만, 

Pictograms으로 만든 낱말을 활용하여 문장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

학급 수준으로 활동한다면 Pictogram Dictionary를 만들어봐도 좋아요.

 

어떻게 보면,

시간 낭비 아닐까?

영어 자체보다는 꾸미고 색칠하는 활동에만 집중되는 것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아이들은 이런 활동을 통해서도 낱말을 잘 인지하고 기억할 수 있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매우 흥미진진한 Tag게임을 소개합니다.

 

규칙도 단순하고, 박진감 넘치고,

쫓고 쫓기는 즐거움과 함께, 

빠른 신체적 반응을 요구하는 게임, 바로 Giants, Elves, and Wizards 게임입니다. 

 

30~40분 게임을 해도, 지치지 않고 즐겁게 할 수 있는 게임이랍니다.

게임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공간이 필요해요.

직사각형 모양이면 좋은데요.

Giants, Elves, and Wizards 게임 배치도

양쪽 끝은 end zone이라고 하여, 일명 safety zone(안전지대)입니다.

가운데에는 두 개의 라인이 필요한데 center line 정도로 부를 수 있지요. 

center line에 두 팀이 서서 서로 마주 보고 게임하는 것이랍니다.

 

<활동 방법>

1. 두 팀으로 나눠서 활동합니다. 

2. 같은 팀 players들은 end zone으로 가서 어떤 캐릭터를 고를지 비밀스럽게 정해요.

 - Giants를 할지, Elves를 할 지, Wizards를 할지 정하기

 - 한 팀의 players들은 모두 같은 캐릭터로 정하기

3. 정한 뒤, 두 팀 players 들은 center line으로 이동해요.

4. 하나, 둘, 셋을 외친 뒤 각 팀의 players들은 각자 정한 캐릭터의 포즈를 표현해요.

 - Giants: 두 팔을 머리 위로 올려 큰 거인처럼 보이게 하기

 - Elves: 난쟁이처럼 작게 몸을 공처럼 동그랗게 말기

 - Wizards: 약간 뒤로 기대어 두 손으로 주문을 외우는 것처럼 포즈 하기

5. Giants는 Elves를 이길 수 있고

 Elves는 Wizards를 이길 수 있고

 Wizards는 Giants를 이길 수 있습니다. 

만약 정한 포즈의 캐릭터가 이기는 캐릭터라면 상대팀을 쫓아 가고,

상대팀에게 지는 캐릭터라면 end zone으로 도망가고,

같은 캐릭터라면 무승부랍니다. 

 

일종의 가위, 바위, 보 게임이라고 할까요?

단, 가위, 바위, 보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순간의 동작을 인지하고 판단하여 쫒든지, 쫓기든지 하는 신체적인 움직임이 함께 합니다. 

 

요약하면, 이 규칙만 잘 기억하면 됩니다.

Giants, elves, and wizards game rule

End zone을 따로 준비하기 어렵다면,

나무 근처나 정글짐 근처 등 지형지물을 활용하여 간단하게 게임해도 된답니다.

순발력 있게 쫓고 쫓기는 Tag game인 Giants, Elves, and Wizards 게임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Stuck in the mud'는 Tag(술래잡기) 게임을 소개합니다. 

전통적이면서도 매우 일반적인 Tag게임이지요.

 

술래잡기 게임인 만큼

뛰고, 달리고, 쫒고 할 수 있는 넓고 안전한 공간이 필요합니다. 

<활동 방법>

1. 5~10명 정도가 같이 플레이할 수 있으며, 1명의 술래(Tagger)를 정해요.

2. 술래는 다른 친구들을 잡으려고 하겠죠?

3. 잡히면 진흙에 발이 빠진 것 처럼 "Stuck in the mud" 포즈를 취해요.

Stuck in the mud 포즈는 두 다리를 어깨너비로 벌리고 서서 움직이지 못해요.

4. 잡히지 않은 다른 친구가 두 다리 사이로 통과해 주어야만 다시 움직일 수 있어요.

5. 모든 참가자가 잡히면 게임이 끝납니다. (그런데 쉽지 않겠죠?)

<Stuck in the mud 활동의 장점>

첫째, 움직이기, 방향 전환하기, 속도 내기 등 다양한 신체 운동 능력을 키워줍니다.

둘째, 태그 당한 친구를 구하거나, 서로 전략을 짜서 잡히지 않도록 하는 등 사회적인 기술도 키워줍니다. 

셋째, 집중력을 키워줍니다. 누가 태그 당했는지, 누구를 구할 수 있는지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게임에 참여하기 때문이죠.

 

<Variations>

1. 플레이 하는 인원이 10명 이상이면 술래를 2명 이상으로 정해서 할 수 있어요.

보다 박진감 넘치는 게임이 됩니다.

2. 시간 제한을 두고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모두가 태그 되어야 끝나는 플레이는 시간이 좀 더 많이 걸리기 때문이지요. 

3. 다시 살아나는 기회를 1번~2번으로 제한하여 플레이할 수 있어요.

 

소개하다 보니, Tag Game에는 종류가 참 많은 것 같습니다.

Stuck in the mud 게임은 그 규칙이 단순하여 아이들이 금방 규칙을 이해하고 즐겁게 게임할 수 있어요.

안전하고 넓은 장소에서 시도해 보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Action Name 게임은 그 버전이 다양한데요.

보통 첫 만남에나 첫 수업 시간에 많이 하는 게임입니다. 

이름과 함께 간단한 동작을 하기 때문에 Drama Game으로 분류됩니다.

몇 가지 버전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2가지 방법으로 소개드릴게요.

action name game 활동방법 1

<활동방법 1>

1. 참가자들은 원형으로 서요.

2. 돌아가면서 자신의 이름을 말해요.

3. 이름을 말한 다음, 자신의 성격을 나타낼 수 있는 낱말을 말하고, 낱말에 어울리는 동작을 취해요.

예를 들어, 이름이 Tom이라면, "Tom"(name)이라고 말한 뒤 "brave"(personality)를 말하고, brave 한 성격에 어울리는 포즈(action)를 한 가지 하는 것이죠. 

4. 함께 있는 친구들은 Tom의 이름을 다 같이 말하고, 성격을 뜻하는 낱말을 하면서 동작을 따라 해요.

5. 그다음 참가자도 자신의 이름을 말하고, 성격을 나타내는 낱말을 말한 뒤, 성격에 어울리는 동작을 표현해요.

6. 역시 함께 있는 친구들은 이름을 말하고, 낱말을 말한 뒤, 어울리는 동작을 따라 해요. 

7. 참가자들이 모두 돌아가면서 이름과 동작을 소개하고, 따라 합니다. 

action name game 활동방법 2

<활동방법 2>

1. 활동방법 1과 유사하나, 자신의 이름과 동일한 철자로 시작하는 형용사를 하나 더 붙여서 말해야 해요

2. 예를 들어 다음과 같아요.

 Active Anne

 Artistic Andy

 Bossy Betty

 Calm Cathy

 Curious Charles

 Jolly Jane과 같이 말이죠. 

3. 형용사를 나타내는 낱말과 어울리는 간단한 동작도 함께 합니다. 

4. 돌아가면서 형용사+이름+동작을 소개하고, 다른 친구들은 역시 따라합니다. 

5. 한 바퀴 돌면서 모두 자기소개를 한 뒤에는 이름과 동작 외우기를 해 봅니다.

 

대표적이기도 하고, 전통적이기도 한 Drama Game입니다.

Game이라기보다는 아이스브레이킹 활동 정도로 생각하시는 것이 더 좋겠네요. 

 

첫 만남의 어색함을 간단한 동작으로 깨뜨릴 수 있는 Action Name게임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Drama & Role Plays' 카테고리의 다른 글

Zip! Zap!  (0) 2024.03.19
Follow the Leader  (0) 2024.01.19
Mirroring  (0) 2024.01.18
Do You Love Your Neighbours?(당신의 이웃을 사랑하십니까?)  (0) 2024.01.18
Reader's Theater  (1) 2024.01.13
728x90
반응형

스크래블 보드게임을 아시나요?

영어 보드게임의 대표게임이 아닐까 합니다. 

 

스크래블(scrabble)은 15*15 정사각형 칸으로 이루어진 보드와

한 모서리에 작은 점수가 적혀 있는 영어 철자 타일 100개로 이루어진 보드게임인데요.

scrabble - 보드 게임 설명 요약

 

흔히 쓰이는 철자 타일은 점수가 낮고,

Q와 Z처럼 흔치 않게 쓰이는 철자 타일은 점수가 높답니다. 

예를 들어 모음(vowel)인 A, E, I, O, U타일은 모두 1점이고요. 

D나 G는 2점이 되는 것이죠.

아무것도 쓰여 있지 않은 철자 타일은 조커처럼 쓸 수 있으나 점수는 0점입니다. 

scrabble - letter tile 점수

15*15 정사각형 칸으로 이루어진 보드이므로 총 225개의 칸이 있는데요,

특정 칸은 색깔이 다른데, 색깔에 따른 점수 배점이 아래와 같이 다릅니다. 

scrabble - 점수 계산 방법

<활동 방법>

1. 2명~4명이 게임할 수 있으며,

2. 처음 게임을 시작할 때 철자 타일 더미에서 7개의 타일을 가져옵니다.

3. 새롭게 놓는 타일 중 최소한 1개는 기존의 타일과 붙어 있어야 해요

4. 다른 플레이어가 만들어 둔 낱말에 연결하여 새로운 낱말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5. 새롭게 놓는 타일들은 여러 줄에 걸치게 놓을 수는 없어요.

6. 새롭게 놓는 타일로 만들어지는 낱말들은 모두 실제 존재하는 낱말들이어야 해요

7. 자신의 순서에 사용한 타일 만큼을 다시 타일 더미에서 가져옵니다. 

 

만약 여러분의 순서에 가지고 있는 7개의 타일을 모두 사용했다면,

낱말을 만들어 얻을 수 있는 점수에

무려 50점이나 보너스 점수를 얻습니다!

 

어떤 낱말의 과거형이나 복수형은 모두 인정!

고유명사나 축약어는 불인정!

 

전통적인 보드게임이기 때문에,

시도해 보는 것을 추천드려요!

 

라운드가 모두 끝나면 플레이어들의 점수를 계산하며,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사람이 승리!

728x90
반응형

'Play on the Bo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Guess Who(게스후)  (1) 2024.01.23
Four in a Row(Connect Four)  (0) 2024.01.21
Snake and Ladder(뱀과 사다리 보드게임)  (1) 2024.01.13
Bingo Board(빙고)  (1) 2024.01.10
Tic Tac Toe Game  (1) 2024.01.03
728x90
반응형

Grammar and Structure Games 카테고리에서

Scrambled sentences라는 활동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기억이 안 나신다고요? 

Scrambled sentences낱말들의 순서를 배열하여 완전한 문장으로 만들어 내는 활동으로

대문자로 시작하여 구두점으로 마무리하는 sentence-level 활동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런데 이 level의 한 단계 더 앞으로 가 볼까요?

뒤죽박죽 섞인 철자의 순서를 배열하여 낱말을 만드는 활동이 바로 Unscramble letters입니다. 

어떻게 보면 Scrambled sentences 보다 더 어려울 수도 있답니다. 

unscramble letters-철자를 배열하여 낱말 만들기

Target words를 학습한 다음에 적용하면

힌트가 되어 조금 더 수월할 수도 있지만, 

맥락 없이 철자를 재배열하여 낱말 만들기 활동을 바로 시작한다면

그리 쉽지 않은 활동이 됩니다. 

 

저는 보통 전시학습상기 차원에서 Review로 종종 활용하곤 한답니다. 

unscramble letters - 예시 활동

Family를 전 시간에 배웠다면

imyalf를 보고 family라는 낱말을 떠올리는 것이 어렵지 않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어려운 것과 같이요. 

쓰기 활동과 연계한다면, 뒤죽박죽 섞인 철자들을 제시한 뒤 

낱말을 찾아내어 써 보도록 할 수도 있답니다. 

 

Spelling게임이므로, 자연스럽게 철자를 익히는 데도 도움이 되겠죠?

Unscramble letters활동으로 철자도 익히고, 낱말도 만들어 보는 활동 어떠세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